K자형 경제: 아니 이건 또 무슨 소리일까?

경제, 용어 // 2025년 11월 04일 작성

미국발 소식지에서 K자형 경제(K-Shaped Economy)에 대한 언급이 최근 자주 보이는 것 같다. 다만 개인적으론 K자형 경제는 그렇게 좋은 건 아니다 정도만 알고 있던 상황이라 뭔가 이해가 잘 안 되는 내용들 뿐이었다. 이참에 이해를 위해 K자형 경제에 대해서도 좀 알아둬야 할 것 같아 찾아본 내용을 기준으로 정리해 봤다.

K자형 경제

K자형 경제란 경제 침체나 위기 이후 경제의 각 부문이나 계층별 회복 속도와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 마치 알파벳 'K'자 모양처럼 양극화되는 현상을 말한다.

그러니까 정말 안 좋은 상황, 즉 경기침체가 발생해 모든 계층이 타격을 받았다가 정부의 정책과 시간의 도움으로 점점 회복은 되어가겠지만 각 계층이나 산업 부문의 회복력은 다를 수 있다는 게 핵심이다. 이렇게 침체 후 회복되는 상황을 그래프로 그려보면 마치 K자와 비슷한 모양이 나타나서 이렇게 부르는 용어라고 볼 수 있다.

뭔가 이상하지만 어쨌든 K자 모양 뭔가 이상하지만 어쨌든 K자 모양

위 그림이 뭔가 찌그러져서 이상하긴 하다만 사실 저렇게 그리는게 정상적인 K자를 그리는 것보단 덜 틀리는 것 같긴 하다.

어쨌거나 이 회복력이 다른 부문을 구분하는 건 상황에 따라 좀 다를 수 있을 것 같다. 가장 간단히는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으로 구분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당연히 고소득층이 더 회복이 빠를 수밖에 없다. 반면 저소득층은 회복하는 듯하다가도 고용 문제 등 여러 문제로 회복이 더디거나 오히려 회복하는 도중 고꾸라지는 상황도 나올 수도 있다.

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불공평한 회복력으로 인해 그려지는 K자형 경제의 한 예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불공평한 회복력으로 인해 그려지는 K자형 경제의 한 예

이 밖에 코로나19가 창궐했던 상황도 극단적인 예가 될 수도 있을 것 같다. 예를 들어 IT업종 등 비대면 관련 산업은 타격 후 빠르게 회복한 반면, 이와 반대 편에 있는 대면 관련 산업은 회복에 상당히 많은 시간이 들었다.

좀 더 현실적인 K자형 경제 회복 (Sabrina Jiang / Investopedia) 좀 더 현실적인 K자형 경제 회복 (Sabrina Jiang / Investopedia)

결과적으로 K자형 경제는 양극화, 즉 부의 불평등의 심화를 나타내는 다른 용어인 셈이다. 분명이 이는 사회를 분열시키는 안 좋은 징조이며 이런 상황이 길어질 수록 사회적 충돌 발생 여지는 더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.

K자형 경제와 K자형 경제 회복 그리고 K자형 회복

영어로 관련 자료를 찾다 보면 이 'K자'와 관련해서 세 가지 용어가 보였다. 하나는 K자형 경제(K-Shaped Economy)이고 다른 하나는 K자형 경제 회복(K-Shaped Economy Recovery) 그리고 마지막은 K자형 회복(K-Shaped Recovery)이다.

그런데 이 세 용어를 구분하는 건 상당히 피곤한 일 같다. 사실 'K자형 경제'가 침체 후 회복하는 상황에서 양극화가 커지는 상황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는 'K자형 경제 회복'이라는 용어 그 자체와 같은 의미이기 때문이다. 물론 'K자형 회복'이라는 말 자체도 사실상 'K자형 경제 회복'과 동일한 의미로 쓰인다.

따라서 이 세 용어는 같은 의미로 이해해도 될 것 같다.

다만 약간 깊게 파고들면 '현재 상태'냐 '시간의 흐름과 과정'이냐를 구분하는 등 시각을 다르게 할 수도 있겠지만 그건 전문가들의 영역이고 그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다는 생각이다.

결론 및 여담

K자형 경제는 침체 후 회복 단계에서 양극화가 커지는 안 좋은 상황이니 정부와 민간 모두의 결단이 필요하다.

이상론적인 결론이다. 왜냐하면 일반 서민들에겐 결단이라는 종류의 선택지가 없으니 말이다. 그러니 우리들은 이런 일이 생기면 그저 정부와 대기업이 잘 해주길 비는 게 차라리 현실적일 것 같다.

어쨌거나 미국에서는 요즘 들어 노동시장의 둔화가 이슈가 되고 있는데 자동차, 항공사, 식음료, 소비재 등의 산업들은 오히려 수요 증가를 예상하는 등 K자형 경제의 모습이 그려지기 시작한 모양이다. 잘 지켜보면서 도망칠 준비를 착착 해두는 현명한 혹은 멍청한(?) 대비를 해둬야 할 것 같다.

Seorenn Logo
Seorenn (Konrad Seo)
개발자 주제에 경제나 먹거리 관련 글을 주로 쓰는 사람